이 실험키트로 할 수 있는 실험들을 간단히 정리하였습니다.
*구성품; NaOH 60ml, Na2SO4 60ml, BTB&BCP10ml, 연필심,자석,스파크, 멜로디키트, 9V건전지,9V건전지홀더, 페트리디쉬1개, 염다리6개,
24홈판,마이크로스포이드5개, 고투명관10개, 막흰빨대마개4개, 핀, cbc보틀3개, 홈판받침대
1. 염다리를 이용한 Na2SO4 수용액의 전기분해
![]()
홈판 받침대의 모습
![]()
키트에 포함된 24홈판을 홈판 받침대에 놓는다. 홈판 받침대는 관찰하기
편리한 도구임. 여기에 2개의 플라스틱병을 꽂는다.
![]()
각각의 플라스틱병에 탄소전극으로 사용될 연필심을 넣고 염다리로 연결한다.
![]()
2개의 병에 황산나트륨용액을 넣는다.
![]()
. BTB지시약을 몇 방울 넣어 전기분해할 때 용액의 액성을 알아본다.
![]()
![]()
![]()
9V전지를 연결하여 전기분해하는 장면. 지시약의 색이 변화되었음.
2.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전기분해 하여 발생한 수소 산소 혼합기체를
폭발 시키서 다시 물로 합성하는 실험.
![]()
1개의 플라스틱병을 준비하고 마이크로스포이트 준비한다.
마이크로스포이드는 약간 짧게 잘라 병에 잘 걸치게 한다.
![]()
플라스틱병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넣고 마이크로스포이드에 용액을
빨아들여 공기가 하나도 없는 상태로 만든다.
![]()
![]()
구슬핀을 마이크로 스포이드 양쪽에 찔러 넣는다. 이때 주의할 점은
구슬핀끝이 서로 닿지 않을 정도로 가까이 꽂는다
![]()
전지를 연결하여 용액을 전기분해 한다.
![]()
구슬핀을 아래로 하여 핀이 용액에 닿게 한 후 용액을 완전히 전기분해하여
마이크로 피펫에서 제거한다. 소량 남아있는 용액은 제거하고 물을 대신
조금 채운다.
![]()
전기 스파크를 준비한다.
![]()
안에 있는 것은 물이다.
![]()
폭발실켜 본다.
3.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 산소가 2:1의 부피비로 발생하는 지를 관찰하는
실험을 해본다.
아래 사진과 같이 투명빨대에 고무마개로 한쪽을 막은 후 용액을 넣고
뒤집어 병에 넣은 모습이다. 용액을 뒤집을 때에도 표면장력으로 용액이
밖으로 흘러 나오지 않는다.
![]()
구슬핀을 아래쪽을 향하게 잘 끼워 넣는다.
![]()
![]()
2:1의 부피비를 관찰
4. 황산나트륨 수용액을 전기분해할 때 발생하는 이온의 자기장내에서
이동 관찰실험
자석을 놓고 페트리디쉬의 뚜껑으로 덮는다. 그리고 여기에 페트리디쉬를
놓고 황산나트륨 수용액을 적당량 넣는다.
BCP지시약을 몇 방울 떨어뜨린다.
연필심을 이용하여 전기분해 하며 자석의 극성에 따라 어떻게
이온이 이동하는지를 관찰함.
![]()
![]()
5. 물의 전기분해를 다시 거꾸로 하면 연료전지가 된다!!!
연료전지 실험
![]()
![]()
그림과 같이 장치하여 전기분해 한후 건전지의 연결을 끊어도 멜로디키트
는 신나게 작동합니다.
![]()
![]()
![]()
![]()